ㆍ활성탄소정의
 ㆍ세공과흡착
 ㆍ대기응용
 ㆍ수질응용
 ㆍ교체주기산출
 ㆍ제품선정시 고려사항
 
 
 
 
 
 
 
 
 
 
     활성탄소정의
 
 
 
ㆍ활성탄소(Activated Carbon)
 
활성탄소는 가연성 물질을 탄화(Carbonization)시켜  숯(Char, Charcoal)상태로
만든 다음, 가스나 약품을 이용한 활성화 과정을 거친 다공성 탄소의 집합체로서, 활성화된(Activated) 탄소(Carbon)의 의미로 활성탄소(Activated Carbon)라고 간단히 정의한다.


가연성물질(야자각,목재,유연탄,무연탄 등)을 약 600°C정도에서 탄화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숯은 조직 내의 휘발성 물질등이 없어지면서 미세한 공간들이 생겨나
어느 정도의 세공과 내부표면적을 생성하게 된다. 우리 선조들은 이러한 숯을 장
담글 때 등에 활용해온 것은 이러한 흡착능력을 활용한 예라고 할 수 있다.


탄화된 숯을 원료로 하여 약 900°C이상의 고온에서 스팀을 이용하여 미세한 세공을 고도로 발달시키게 되는 활성화 과정을 거치면 내부에 나노미터 단위의 미세한 세공(Pore)이 잘 발달되고, 무수한 미세공간의 통로로 연결되어 높은 내부표면적을 가지게 된다.
 

활성탄소는 이러한 세공의 발달과 함께 반데르발스(Van Der Waals) 인력과 탄소 표면의 관능기에 의해 여러 유기물질과 유해물질을 흡착/제거하는 성질이 있는 물질이라고 할 수 있다.

활성탄소와 숯은 외관상으로도 비슷하고, 숯(Char, Charcoal)에도 소량의 흡착능력이 있으나, 내부의 세공정도와 흡착능력면에서는 엄격히 구분되어야 한다.

 
 
ㆍ활성탄소의 분류
 

<원료에 따른 분류>
- 식물질 : 야자각, 목재, 톱밥, 대나무, 목탄, 펄프제조 부산물, 호두각 등
- 석탄질 : 유연탄, 무연탄, 역청탄, 니탄, 초탄, 갈탄, 아탄 등
- 석유질 : 석유 Cokes, 석유핏치, 황산 슬러지, Oil carbon 등
- 폐기물질 : 펄프폐액, 합성수지, 유기질 폐기물
- 섬유계 : 페놀수지, 프란수지, 폴리염화비닐수지 등.
- 동물질 : 동물뼈(골탄)


<물리적 형상에 따른 분류>
- 입상(GAC : Granular Activated Carbon) : 파쇄상이라고도 하며, 입자크기가 보통 3~80mesh로써 불규칙한 형상이다
- 성형상: 원주형태, 고가이지만 높은 흡착율을 보여 고농도의 가스처리에 주로 이용됨.
- 분말상(PAC : Powdered Activated Carbon) : 보통 100mesh 이하의 입도임 (수처리제 규격 : 200mesh 이하, 90%)
- 생물활성탄(BAC) :
- 섬유상 : ACF라고 명하며, Cloth 상태임

 
 
ㆍ활성탄소의 응용분야
 
구분 특징 용도 비고
기상용 Micro세공발달 - 담배필터
- 일반정화용
- 용제회수
- 자동차 캐니스터
- 방독마스크
- 가스정제
- 비교적 분자가 작은 물질이 흡착되도록 Micro 세공이 발달된 야자
껍질계열의 활성탄 많이 이용
- 용제회수, 자동차 캐스니터 등과 같이 흡탈착공정이 연속적인 균일한 세공 분포와 축적된 열확산을 위해 Messo pore를 더 발달 시킴.
액상용 Messo,
Macro세공발달
- 정수
- 폐수
- 당액탈색 등
- 분자가 큰 물질이 잘 흡착되도록 큰 Pore가 발달된 활성탄으로 Messo, Macro 세공이 발달되어 있음
촉매 및 촉매담체 고강도 저회분
Messo세공 발달
- 할로겐화
- 수소화 등
- 촉매물질이 첨착되어도 높은 비표면적이 유지되도록 세공이 커지게 발달시킴
특수 공정용 공정 용도에
따른 첨착가공
- 금회수, 방사선용
- 방독면
- 반도체, 석유정제
- 의약용
- 특정 물질 선택 흡착 강화
 
 
 
 
 
 
 
홈으로    문의하기   견적상담    찾아오시는길
패밀리사이트 :